Scope 3 카테고리별 산정 방법

아래 내용을 비디오로 보시려면
*탄소회계 이해와 활용 - Scope 3 ['24. 09. 18]
데이터의 종류

배출량 산정을 위해 활용되는 데이터의 종류 배출량 산정을 위해 활용하는 데이터는 1차 데이터와 2차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차 데이터는 기업 가치사슬 내 특정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계량기 판독값, 구매 기록, 공과금 청구서, 엔지니어링 모델, 직접모이터링, 물질수지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2차데이터는 특정 활동으로부터 기인한 것이 아닌, 추정을 위한 평균 데이터입니다. 공개된 데이터베이스 나 정부 통계, 학술 연구결과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경우에 따라 기업은 가치사슬 내 한 활동에서 얻은 특정 데이터를 이용해 가치사슬 내 다른 활동의 배출량을 예측해야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데이터, 즉, 프록시 데이터는 특정 활동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배출량 산정 시 2차 데이터로 간주합니다.
Scope 3 배출량 산정 시 전과정 평가 개념

(◯ 스코프 3의 배출량 평가에는, 제품의 생애 주기, 가치사슬에 걸친 전과정 평가에서 나오는 개념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 하나의 제품이 생산되는 단계부터 운송, 사용, 폐기되고, 혹은 재활용되는 단계까지 전체 가치사슬의 범위에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함. 그 안에서 세부 단계별로 Cradle to Gate(원자재 조달, 생산까지, 사용 및 폐기 단계 제외), Cradle to Grave(원자재 조달에서 제품 생산, 사용 및 폐기까지의 전체 과정), 그리고 Cradle to Cradle (생산/사용/폐기/재활용까지, 순환경제) 로 나눠질 수 있음.
카테고리별 해당 산정방법

카테고리별 산정방법 표 Scope 3 산정 방법에는 공급원별, 하이브리드, 평균데이터, 지출기반, 연료기반, 거리기반, 시나리오 방법이 있습니다. 각 산정방법의 특징과 조건 그리고 산정 시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산정방법 - 공급원별

공급원별 산정 방법론은 공급사가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cradle-to-gate 배출계수를 사용하여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제공받은 데이터가 정확하다면 다른 방법에 비해 정확도가 높습니다. 공급사에서 공급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cradle-to-gate 배출계수를 제공해줄 수 있을 때 가능한 산정 방법입니다. 제품 사용량 X 공급사 제공 배출계수로 배출량을 계산합니다.